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라디오
- Java
- 퀄컴
- "명탐정 코난"
- HSDPA
- itmusic
- 모던음악만만세
- 이지형
- 민동현
- ETF
- EV-DO Rev. B
- 김장훈
- 차트쇼쇼쇼
- 한국의 기획자들
- 사요
- 공정위
- 자바
- CDMA
- brew
- SWT
- 위피
- 페이스북
- Wibro
- USIM
- 민동현의토요명화
- VoIP
- 그녀가말했다
- 김장훈의who
- 러시아
- 유희열의라디오천국
- Today
- Total
zyint's blog
매니페스토(manifesto)의 어원 및 유래 본문
매니페스토(manifesto)의 어원 및 유래
매니페스토(manifesto)란, 정책, 정권공약, 선언, 선언서의 의미. 매니페스토(정책강령)란, 선언 또는 성명서의 의미다. 현재는 정당이 내거는 정권공약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매니페스토의 어원에 대해서는 라틴어의 '손(manus)'과 '치다(fendere)'가 합성되었다는 설이 유력하다. '손으로 치다'⇒'손으로 느껴질 만큼 명확히 하다'⇒'명확히 나타내 보인다'로 파생되어 정치용어가 된 것 같다.
정치적 선언의 의미로 '매니페스토'가 사용하게 된 것은 1848년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공산당 선언」에서 독일어로 쓰여진 'manifest'에서 유래한다. 그러나 현재 세계에서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는 '매니페스토'는 「이탈리아 공산당 선언」에서 사용된 이탈리아어의 'manifesto'이다.
정권공약의 의미로서 매니페스토(manifesto)
매니페스토는 종래의 선거공약과는 달리 무엇을 언제까지 어느 정도까지 할 것인지, 즉 구체적인 시책, 실시 기한, 수치 목표를 명시한 "사후 검증 가능한 명확한 공약"이다.
영국에서는 정당에서 공표하는 정책강령을 '매니페스토'라고 해서 정책의 수치 목표, 실시 기한, 재원, 방법 등 구체적인 정권공약의 의미로 쓰여 왔다.
매니페스토는 유권자와 친밀한 선거, 특히 지방자치단체의 장을 선출하는 선거에서 큰 의의가 있다. 앞으로 매니페스토에 의해 뽑힌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지역을 리드하고, 지방정부가 중앙정부와 대등한 관계를 유지하는 시대가 열릴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2005년 토쿄지방의회의원선거에서 민주당이 발표한 '토쿄 매니페스토 2005'를 시발로 하여 로칼 매니페스토의 움직임이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다.